자신이 누군가와 나누는 대화를 녹음해 들어본적이 있는가? 업무특성상 전화로 중요계약 내용들이 자주 왔다갔다 하는 탓에 그리고 기억력이 좋지 못한 탓에 통화가 끝나고 나서 다시 들어보는 일이 잦았다. 그럴때 마다 항상 느끼는 것은 "왜 내 목소리가 이렇지?", "말을 왜 이렇게 못하지?" 어눌한 목소리에 엉망진창 대화 진행, 대화중간 중간 음....이라는 효과음까지 끝까지 들을 수가 없어 항상 필요부분만 캐치하고 꺼버리고 만다.
그러나 다행히도 자신의 목소리를 듣기 싫어하는 사람들이 나만 그런 것은 아니라는걸 알게된 것은 영국 가디언지에 기사가 났으며, 음성직면이라는 현상으로 학술 용어까지 존재하다고 하며 이러한 이유를 매우 상세히 설명해 준다.
가디언지에 따르면, 일단 목소리가 내가 기억하는 목소리와 다르다고 느낀다. 내가 내목소리를 들을 때는 공기로 전달되는 음파와 뼈로 전달되는 음파 두가지를 종합해 들어 조금 더 낮은 목소리를 듣게되고, 남이 들을때와 녹음된 음성은 공기 전달 음파로만 듣게되어 조금더 하이톤의 목소리가 된다고 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녹음된 목소리를 들을 때 우리는 그 목소리를 평소 우리가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게 된다고 하며, 녹음된 음성에서 언어 외적 요소 긴장상태와 망설임, 슬픔, 분노 같은 요소를 객관적으로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객관적인 요소를 들으면 그 동안 내 기억속의 자체보정을 통한 기억과 진실이 마주하는 순간, 공격적이고 어눌한 대화를 직면하고 매우 부끄러워 진다. 더군다나 대화방법에 확실한 문제가 있어보였다. 주야장천 내말만 하고 A에 대해 이야기하는 도중 갑자기 B를 소재로 끄집어 내고 대화를 산만하게 만들고, 중간중간 상대 말을 자르고 이러한 모습으로 인해 내가 대화 방법을 바꾸겠다는 마음을 굳게 다지게 되었다.
지금처럼 책을 많이 읽을 수 있는 상황이 된것에 감사하며 일단 방법론은 책에 나와 있는 것이 매우 기초적일 것이라 판단되어 책들을 찾아보고 연습할 생각이다. 아마도 현실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힘들것이라 생각된다. 걷는 법, 뛰는 법도 육상선수들이 뛰는 법과 걷는 법이 일반인과 다르듯 모델이 걷는 법과 일반인이 걷는 법이 다르 듯 오히려 대화가 더 꼬일 수도 있지만 대화 방법과 발성에 대해 한번 공부하고 변해보고 싶어졌다.
꾸준히 또 무엇인가 배우고 바꿔보려고 노력하자. 내가 좋아하는 작가인 파울로 코엘료는 "살다 보면 흔히 저지르게 되는 두가지 실수가 있다고 한다. 첫째는 아예 시작도 하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끝까지 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은 미친짓이란 것을 정의 할때, '똑같은 일을 반복하면서 다른 결과를 기대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나아지고 싶다 작가가 되고 싶고 말을 잘하고 싶으니 일단 시작하고 바뀔 때 까지 해보자.
'One day One Wri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3.24 [오늘의 키워드 : 코카콜라, 기분, 행동] (0) | 2020.03.24 |
---|---|
2020.03.23 [오늘의 키워드 : 쇼핑, 속옷, 가치] (0) | 2020.03.23 |
2020.03.19 [오늘의 키워드 : 에코백, 지속가능한 패션, 종이빨대] (0) | 2020.03.19 |
2020.03.18 [오늘의 키워드 : 반려동물, SNS, 사진] (0) | 2020.03.18 |
2020.03.17 [오늘의 키워드 : 마스크, 약국, 마스크5부제] (0) | 2020.03.17 |